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고려의 요동 정벌과 위화도 회군

반응형

고려 말기에 왜구와 홍건적의 침입과 약탈이 끊이지 않았다. 왜구들은 고려의 바닷가 마을에 쳐들어와 식량을 빼앗고 집에 불을 지르고 백성들을 마구 죽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왜구와 홍건적을 물리치는 무신들이 이름을 널리 알렸으니 대표적 인물로 최영과 이성계가 있었다. 그중 이성계는 뛰어난 활 솜씨와 지휘력으로 홍건적과 왜구를 연달아 막아 큰 공을 세웠다. 이성계는 고려 말 최대의 군벌로서 실력만 아니라 급진 신진사대부들의 뒷받침으로 고려 주요 인물로 떠올랐다. 

 

요동 정벌

한편 중국에서는 홍건적의 우두머리였던 주원장이 세력을 키워 원나라를 몰아내고 명나라를 세웠다. 명나라는 고려에 무리한 조공을 지속해서 요구했다. 우왕 때에 와서는 명나라는 고려에 철령 이북 지방의 땅까지 내놓을 것을 요구했다. 철령 이북 지방은 공민왕이 이성계의 도움으로 쌍성총관부를 무너뜨리고 몽골군으로부터 100년 만에 되찾은 땅이었다. 최영은 명나라의 무리한 요구를 들어줄 수 없어 이성계와 함께 요동 지방을 공격하자고 하였다. 하지만 이성계는 4대 불가론을 들어 요동 정벌을 반대하였다. 4대 불가론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스르는 것은 옳지 않다. 둘째, 여름에 군대를 일으키면 농사에 큰 피해를 준다. 셋째, 요동을 공격하는 동안 남쪽에서 왜구가 쳐들어올 수 있다. 넷째, 장마철이라 활이 약해지고 군사들은 역병에 걸릴 수도 있다. 하지만 최영과 우왕은 이성계를 대장으로 임명하고 요동 지방을 공격하라고 명령하였다. 최영이 군사를 이끌고 나서려던 것을 최영의 보호가 필요했던 우왕이 반대함으로써 오히려 요동 정벌을 반대하던 이성계에게 요동 정벌이 명해진 것이었다. 이성계와 군사들은 요동 지방을 가던 중 압록강에 있는 위화도라는 섬에 도착했다. 그런데 이미 장마가 시작되고 압록강물이 불어나 오도 가도 못할 지경이었다. 이에 이성계는 우왕에게 상소를 올려 상황을 보고하고 회군할 것을 요청하였다. 하지만 우왕과 최영은 출전을 독려하고 상황을 감시하기 위해 환관을 감찰사로 원정군에 보내기까지 하였다.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계속된 회군 요청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자 마침내 이성계는 함께 온 장수들을 설득하여 원정군의 회군을 결정하였다. 회군이 결정되자, 원정군은 빠른 속도로 진군하였다. 이성계의 원정군은 열흘 만에 서경에 들어섰고 보름 만에 개경까지 진격하였다. 서경에 머물던 우왕과 최영은 서둘러 개경으로 돌아와서 이성계와 맞서기 위한 군사들을 모집하였으나 개경에는 군사들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위화도 회군이 벌어질 당시 고려의 주력은 모두 원정군에 속했으며, 그나마 남은 병사조차 왜구를 막기 위해 파견이 된 상태였기 때문이었다. 개경에 들어선 원정군은 우군과 좌군으로 나누어 우군은 개경 동쪽에서 좌군은 서쪽 주둔시킨 후 최영이 있는 궁성을 공격하였다. 최영은 이성계의 원정군을 맞아 항전하였으나 결국 붙잡히고 만다. 이후 이성계는 군대를 이끌고 대궐을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다.

요동 원정군의 회군 경로 (출처 : 나무위키)

 

이성계에게 붙잡힌 최영은 유배된 후 제거가 되고 우왕은 폐위가 되고 말았다. 이후에 창왕과 공양왕을 차례로 옹립되었으나 이들은 모두 허수아비였고 모든 실권은 이성계가 장악하고 마침내는 스스로 왕위에 오르게 된다. 그렇게 역성혁명이 성공해 오백 년 고려왕조가 멸망하고, 새로운 조선이 건국되었다.

한편, 명나라는 고려가 요동 지방을 공격하고자 했다는 사실을 알고 철령 이북 지방을 차지하려던 계획을 덮었다. 최영의 요동 정벌이 효과를 거둔 셈이었다. 하지만 요동 정벌은 이성계에게 빌미를 주어 고려의 멸망을 부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신진사대부

신진사대부란 고려말 조선 초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를 이끌었던 세력을 지칭하는 학술용어이다. 이성계가 왜구를 물리치고 승승장구하고 있을 무렵, 성균관을 통해 이색, 정몽주, 정도전 같은 신진 사대부들이 정치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신진 사대부들은 성리학의 가르침에 따라 왕이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귀족과 절들이 땅을 모조리 차지하고 백성들의 어려운 삶이 이어졌다. 신진 사대부는 부패한 귀족과 불교를 강하게 비판하고 토지 제도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신진 사대부 세력의 일부는 자신과 생각이 비슷한 이성계와 손을 잡았고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세우는데 협력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