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건국
신라는 말기에 접어들면서 왕이 자주 바뀌고 귀족들 간의 다툼이 잦아지기 시작했다. 그러는 동안 지방에서는 호족들이 세력을 키워 갔다. 견훤이 후백제를, 궁예는 후고구려를 세우고 영토를 넓혀 갔다. 궁예는 백성들의 지지를 받으며 세력을 키워 갔으나, 차츰 신하들을 믿지 않고 폭군으로 변해갔다. 이에 궁예의 신하였던 왕건이 다른 장군들과 힘을 합하여 궁예를 몰아내고 918년 '고려'를 세웠다. 신라는 세력이 약해지고 후백제로부터 더 이상 나라를 지키기 힘들어지자 935년 경순왕 은 고려 왕건에게 신라를 바치게 되었다.
견훤의 후백제와 왕건의 후삼국 통일
남쪽 지방에서는 견훤이 세운 후백제가 세력을 떨치며 고려와 신라를 위협했다. 후백제는 신라로 쳐들어가 경애왕을 죽이기까지 하였다. 견훤은 넷째 아들 금강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싶어했다 하지만 이 사실을 알고 큰아들 신검이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아버지 견훤을 가두고 동생을 물리치고 왕위에 올랐다. 이에 견훤은 신감이 자신을 가둔 절에서 탈출하여 고려 왕건에게 갔다. 견훤을 받아들인 왕건은 후백제를 공격하고 936년 마침내 후삼국을 통일했다.
태조 왕건
견훤과 궁예와 달리 왕건은 선정을 베풀어 호족과 백성들의 마음을 얻었다. 자신을 도운 호족에게는 상으로 땅과 벼슬 뿐 아니라 자신과 같은 왕 씨 성까지 내려 주었다. 항복한 신라의 경순왕에게도 벼슬을 주고 발해의 세자가 고려로 왔을 때도 그들을 거두어 주었다. 왕건은 세금을 줄여주고 어려운 백성들의 살림을 보살펴 주기도 하였다. 또한 여러 호족 가문의 딸들과 결혼하여 우호적인 관계를 맺은 것으로 유명하다. 왕건은 스물아홉 명의 처를 둔 것으로 전해진다. 아울러 호족들이 반란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그들의 아들을 개경에 머물게 하였다.
광종의 호족 억압정책
태조가 죽자 스물다섯의 아들 중 맏아들이 왕위로 오르니 그가 혜종이었다. 하지만 이복동생들과 끊임없는 왕위 다툼이 이어졌고 정종을 거쳐 광종에 이르러서야 왕권이 안정되었다. 광종 스스로도 호족 가문인 외가의 힘으로 왕위에 오를 수 있었으나 호족을 억누르고 왕의 권력을 강화하는데 힘을 썼다. 노비안검법을 제정하여 호족들이 노비가 지나치게 소유하는 것을 견제하고 과거 제도를 실시하여 자신을 따르는 세력을 늘렸다. 과거 제도가 있기 전까지는 나라의 관리가 될 수 있는 신분이 정해져 있었으니 고려 시대에는 실력이 있으면 과거 시험을 통해서 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많은 호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광종은 이를 밀어붙였으며 반대하는 호족은 처형까지 하였다.
고려의 정치 제도
고려의 중앙 정치 기구는 당나라의 3성 6부제를 참고하여 고려의 상황에 맞게 운영이 되었다. 고려는 3성이 아닌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의 2성으로 운영하였다. 중서문하성은 국정 전반을 관장하였으며, 상서성은 6부를 거느리고 행정을 담당하였다. 이 밖에 중추원, 어사대, 삼사 등의 관청을 두었다.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에 소속된 고관이 함께 모여 중요한 정책을 논하는 도명마사와 식목도감이라는 회의 기구도 있었다고 한다.
고려에서 공무원 되기
고려 시대에 우리나라 최초로 과거 제도가 도입되다. 백성들은 관리가 되기 위해서는 과거 시험을 통과해야 헸다. 과거 시험의 종류는 일의 성격에 따라 제술과, 명경과, 잡과로 나누어졌다. 제술과와 명경과는 나랏일을 할 문신을 뽑는 시험이었다. 지리, 수학, 의한, 법률을 담당하는 기술자 관리들은 잡과에서 선발하였다. 농민들도 물론 과거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시험은 대부분 귀족, 관리, 지방 부자들의 자녀가 대부분이었다. 과거에 합격한다고 해도 바로 관리가 되는 건 아니었다. 합격자보다 관직의 수가 적었기 때문에 몇 년씩 기다려야 관직에 나갈 수 있었다고 한다. 과거에 큰 공을 세운 후손들은 과거 시험을 치르지 않고 벼슬을 받을 수도 있었다. 이를 음서 제도라고 한다. 관리 들은 일한 대가로 땅을 하사받고 그 땅에서 나온 곡식을 가져갔다. 벼슬을 그만두면 그 땅은 다시 나라에 돌려주는 방식이었다.
고려의 신분제도
고려의 신분은 귀족, 중류층, 양인 그리고 천민 계층으로 나누어졌다. 낮은 관리와 지방의 향리는 중류층에 속하였고 농민과 상인이 양인에 속했다. 천민은 대부분 노비로서 물건과 같이 사고파는 대상이었다. 양인은 잡과를 통해서 낮은 관리가 될 수도 있고 지방의 향리 또한 과거를 통해서 중앙의 관리가 되는 길 도 열려 있었다.
본관과 성
고려 이전에는 귀족들만이 김 씨나 박 씨 같은 성을 쓸 수가 있었다. 고려를 세운 왕건도 성은 없이 이름만 왕건이었다. 이후에 스스로 '왕'씨라 정하고 썼다. 왕건은 호족들에게 자신의 '왕'씨 성을 쓸 수 있도록 하였다. 호족들이 성을 가지면서 일반 백성들도 성을 쓰기 시작했다. 성씨와 함께 경주 최 씨와 같이 본관도 이때부터 쓰기 시작했다. 경주 최씨는 경주에 사는 최씨 집안의 사람을 의미한다. 현재는 본간의 의미가 변경되어 집안의 시조가 살았던 곳을 가리킨다.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의 문화와 불교 (0) | 2024.06.09 |
---|---|
고려거란전쟁 (0) | 2024.06.09 |
해동성국 발해 (0) | 2024.06.05 |
통일 신라의 찬란한 불교 유산 (0) | 2024.06.05 |
철의 나라 가야 (1) | 2024.06.04 |